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튜버·블로거 종합소득세 신고법|2025 콘텐츠 수익자 실전 가이드

by 도담빠빠 2025. 5. 2.
반응형

콘텐츠 수익 종소세 신고 완전정복

 

“구글에서 애드센스 수익이 들어오긴 하는데, 세금 신고는 어떻게 하지?”
“협찬비 50만 원도 신고해야 되나?”
처음 콘텐츠 수익이 생긴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해보셨을 거예요.
그래서 저도 ‘나처럼 초보자도 할 수 있게’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제가 신고하면서 준비했던 자료와 과정을 그대로 정리했어요.

이 글 하나만 읽으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까지 가능하도록

구성해볼게요.

콘텐츠 수익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네, 무조건입니다. 수익이 1원이라도 생겼다면 신고 대상이에요.

  •  애드센스 수익 (구글 광고)
  •  블로그 체험단, 포스팅 광고비
  •  유튜브 협찬·영상 제작비
  •  SNS 후기 작성 수익 (인스타, 틱톡 등)

이런 수익은 보통 사업소득으로 분류되고,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애드센스 수익, 신고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애드센스 수익은 해외에서 입금되기 때문에 국세청 홈택스에 자동으로 잡히지 않아요.
그래서 본인이 입금 내역을 정리해서 직접 신고해야 해요.

 

제가 실제로 준비한 자료

  • 통장 입금 내역 (외화 → 원화 환전 후 입금 기준)
  • 애드센스 수익 PDF (구글 애드센스 ▶ Payments ▶ Statements 메뉴)
  • 월별 수익 정리표 (엑셀 직접 작성: 지급일, 금액, 환율 등)
  • 환율 확인 근거자료 (해당일 기준 하나은행 또는 네이버 환율 캡처 가능)

※ 저는 매달 정리하기 귀찮아서 연말에 한꺼번에 정리했어요. 미리미리 하면 더 좋겠지만요 😅

 사업자 등록 없이 신고해도 될까요?

네, 가능합니다. 저도 무등록 상태에서 신고했어요.

다만, 월 100만 원 이상 꾸준히 수익이 들어온다면 사업자 등록을 고려해보는 게 좋아요.
사업자 등록을 하면 세금계산서 발행, 부가세 환급, 경비처리 범위 등이 더 넓어지거든요.

단순경비율 계산방법

 경비는 어떻게 처리할 수 있나요?

경비처리,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단순경비율을 적용했어요. 초보자에게 제일 쉬운 방식이더라고요.

예를 들어 애드센스로 연 300만 원 벌었으면,
단순경비율(예: 60%) 기준으로 180만 원은 경비로 자동 인정,
과세표준은 120만 원만 적용됩니다.

경비로 인정될 수 있는 항목 예시

  • 노트북, 마이크, 웹캠 등 촬영 장비
  • 프리미어 프로·캔바 등 편집 툴 구독비
  • 인터넷 요금, 촬영장 대여비, 촬영 관련 교통비

※ 저는 별도 증빙 없어서 단순경비율로 했는데, 지출 많으신 분은 실제경비 방식이 유리할 수도 있어요.

 홈택스 신고 실제 순서 (직접 해본 순서예요!)

  1. 홈택스 로그인 ▶ 종합소득세 신고
  2. 신고 유형: 일반신고서 작성
  3. 소득 구분: 사업소득 ▶ 업종: 온라인광고업 or 콘텐츠창작업
  4. 수익 입력: 월별 합산 or 연간 총액 입력
  5. 경비 입력: 단순경비율 or 실제경비 직접 입력
  6. 공제항목 확인 ▶ 신고서 제출

저는 신고서 제출 후 '납부서 출력'까지 했어요. 은행에서 납부하면 끝!

자주 묻는 질문

  • Q. 수익이 적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100만 원이든 50만 원이든 신고는 해야 합니다.
  • Q. 3.3% 세금 이미 냈는데 또 신고해야 하나요?
    → 네. 3.3%는 잠정 예납이고, 진짜 정산은 5월에 합니다.
  • Q. 안 하면 걸리나요?
    해외 수익도 요즘은 국세청에 정보 공유되기 때문에, 언젠간 걸립니다.
  • Q. 신고하면 세금이 무조건 나오나요?
    → 아니요. 경비처리와 공제 잘하면 환급받는 경우도 있어요!

마무리하며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저도 이 글에 쓴 순서대로 따라가면서 혼자 신고 마쳤습니다.
너무 겁먹지 마시고,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정리표만 만들고, 홈택스에서 그대로 입력하면 끝!

▶ 다음 글 예고

다음 편에서는 직장인 + 콘텐츠 부업자의 절세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직장 연말정산 + 유튜브 수익을 합산 신고할 때 팁도 꼭 챙겨가세요!


이전 글 보기: 배달·대리운전 부업자 종소세 신고법
다음 글 보기: 직장인 콘텐츠 부업자의 종소세 절세 전략

 

반응형